2020. 7. 20. 17:06ㆍ디스플레이광고 알기/디스플레이광고 기초개념
안녕하세요~
좋아하는 아이돌 뉴스를 읽으려고, 뉴스 사이트를 열면
가득 차있는 그 많은 광고들은 도대체 어떻게 어디서 거래가 되는 걸까요?
오늘은 크게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거래방식 중 대표적인 RTB와 PMP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디지털 광고의 과금에 대해 얘기할 때 항상 나오는 단어인 CPM에 대해서 설명드릴게요.
CPM(Cost Per Mille)은 배너광고를 1000개로 묶어서 과금하는 방식입니다.
(Mille은 라틴어로 1000을 뜻한다고 하네요)
예를 들어 CPM 3달러라고 하면, 배너를 1000번 게재하는데 3달러가 든다는 말입니다.
자, 그럼 이제 CPM을 기준으로 어디서 거래되게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RTB입니다.
Real Time Bidding이라는 영어 단어 뜻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실시간 경매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뜻합니다.
아이돌의 결혼 소식을 듣고, 한 유저가 연예뉴스 사이트에 접속을 하게 됩니다.
이 뉴스사이터는 유저의 브라우저에 설치된 쿠키 정보 등을 바탕으로, 해당 유저에 알맞은 광고를 보내라는 광고 리퀘스트를 에드 익스체인지(Ad exchange)에 보내게 됩니다.
그러면 에드익스체인지와 연동하고 있던 각 각의 DSP에서 해당 유저에게 보이면 좋을 광고를 가지고 경매에 들어갑니다. 즉, 사이트에 광고를 게재할 수 있는 유닛을 대상으로 경매를 하게 되는 것이죠.
그러면,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한 DSP가 낙찰이 되고, 해당 광고를 뉴스 사이트에 노출시켜 유저가 그 광고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 모든 경매 과정이 1초도 안걸린다는 것이 정말 대단하지 않나요?!
다음은 PMP입니다.
Private Marketplace는, RTB와 같은 자동 경매 시스템을 이용하지만, 오직 초대를 받은 광고주(DSP)만 참여가 가능합니다.
그렇다 보니, RTB에 비해서는 경매 단가가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광고주의 입장에서 사이트에서 가장 눈에 잘보이는 곳에 광고를 게재하고 싶다던지, 특정 업계의 사이트에서만 광고를 보이고 싶다던지 한다면, 그때는 이러한 높은 단가를 지불하고라도 광고의 효과를 더욱 보기 위해서 PMP를 이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PMP의 경우에는 경매에 참가 할때 deal ID라는 것을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누가 광고를 내 사이트에 하게 되는지, 광고를 내는 입장에서는 어디에 내 광고가 게재되는지 더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RTB와 PMP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디스플레이광고 알기 > 디스플레이광고 기초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고성과 측정 Incrementality (성과증가분) (0) | 2020.07.10 |
---|---|
광고 성과측정 지표(CPA, ROI, ROAS) (0) | 2020.06.30 |
최대 게재빈도(Frequency Capping) (0) | 2020.04.11 |
Ad Network vs Ad Exchange(애드 네트워크/애드 익스체인지) (0) | 2020.04.05 |
DSP vs SSP (0) | 2020.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