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광고(4)
-
RTB vs PMP (디지털 광고 거래 )feat. CPM
안녕하세요~ 좋아하는 아이돌 뉴스를 읽으려고, 뉴스 사이트를 열면 가득 차있는 그 많은 광고들은 도대체 어떻게 어디서 거래가 되는 걸까요? 오늘은 크게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거래방식 중 대표적인 RTB와 PMP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디지털 광고의 과금에 대해 얘기할 때 항상 나오는 단어인 CPM에 대해서 설명드릴게요. CPM(Cost Per Mille)은 배너광고를 1000개로 묶어서 과금하는 방식입니다. (Mille은 라틴어로 1000을 뜻한다고 하네요) 예를 들어 CPM 3달러라고 하면, 배너를 1000번 게재하는데 3달러가 든다는 말입니다. 자, 그럼 이제 CPM을 기준으로 어디서 거래되게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RTB입니다. Real Time Bidding이라는 영어 단어 ..
2020.07.20 -
광고성과 측정 Incrementality (성과증가분)
디지털 광고의성과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요즘 많이 화두가 되고 있는 Incrementality에 대해서 소개를 하고자 합니다. Incrementality는 한국어로 성과증대, 증분, 업리프 등 다양하게 번역되어 사용이 되고 있는 것 같은데, 제가 보기에는 성과증가분이 좋아 보여서 여기서는 임의로 성과증가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하게 설명을 하자면, 광고를 보여준 그룹과 보여주지 않은 그룹을 비교했을 때 어느정도의 구매율 차이가 발생하는 지를 보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안 보여준 그룹에 비해 보여준 그룹은 얼마나 전환율이 높은 지를 보고 효과를 측정해 보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 온라인 빵 구매 사이트를 오픈했습니다. 그룹을 둘로 나누워, A그룹에는 광고를 보여..
2020.07.10 -
광고 성과측정 지표(CPA, ROI, ROAS)
온라인 광고가 얼마나 효과적이었는지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지표인 CPA, ROI, ROA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클라이언트들과 캠페인을 시작하기 전에 항상 어떤 것을 성과 지표로 할 건지 이야기를 나누게 되는대요. 아시아의 경우는 "클릭"을 중요하게 생각하게 때문에 주로CPA를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CPA란 Cost per Aquisition으로, 즉 한번의 전환을 위해 얼마의 비용이 들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의 비용을 들여 햄버거 광고를 게재했습니다. 그 광고를 통해 들어 온 유저들이 햄버거를 주문한(전환) 횟수가 100번이라고 하면, 한 번의 주문을 얻기 위해 들인 비용이 1만 원이라는 결과를 얻게 됩니다. *CPA = 광고비용/전환횟수 C..
2020.06.30 -
디스플레이 광고는 어떻게 우리에게 보여지게 될까?
안녕하세요 도쿄언니 린린입니다~ 나 혼자 공부한게 너무 아까와서 올리는 디지털 광고이론! 그 첫번째는 기본적인 디지털광고가 소비자에게 닿기까지의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해 드리려고합니다. 앞으로는 하나하나의 개념에 대해서 조금씩 설명을 해드릴게요. 자! 이제 디스플레이 광고가 유저에게 어떻게 보여지게 되는 지를 일련의 가장 기본적인 과정을 통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이해를 돕고자 조악하지만 저의 그림을 추가해 보았습니다. 우선 디스플레이 광고의 경우 거의 모든것이 온라인상에서 자동으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광고를 사고 파는 과정이 마치 자동경매 프로세스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울 거예요! 저의 분신인 앵두소녀를 주인공으로 한번 설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①앵두소녀는 오늘도 컴퓨터를 켜고, 세상이..
2020.03.31